구음 시나위 / 안숙선
시나위
전라도·충청도·경기도 남부의 무속음악에서 유래된 가락의 하나. 연주악기는 향피리·대금·해금·장고로 편성되며 불협화음을 내는 듯하면서도 조화를 이루는 데 묘미가 있다. 시나위의 특성은 경기도·전라도 모두 판소리 또는 계면조가락과 비슷한 점을 들 수 있다. 장단은 거의 <살풀이장단>으로 이루어지며, 경기지방에서는 <도살풀이장단>, 전라도지방에서는 <살풀이>로 통한다. 도살풀이장단은 6박1각의 빠른 진양조로, 처음에는 느린 장단으로 시작되어 차츰 빠른 장단인 살풀이장단(4박)으로, 다음은 더욱 빠른 장단인 발버드레장단(몰이장단)으로 끝난다. 시나위 선율은 유동적이며 즉흥적이다. <시나위>의 어원에 대한 해설을 보면 양주동(梁柱東)은 외국음악인 당악(唐樂)에 대하여 향악(鄕樂)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였고, 이탁(李鐸)은 (詞腦;신라시대의 노래)에서 온 말이라고 하였다. 이혜구(李惠求)는 외래음악인 정악(正樂)에 대한 토속음악, 또는 당악에 대한 향악이라고 하였다.
시나위는 원래 죽은 사람을 위한 굿판 음악의 하나입니다. 여기에 저승으로 간 사람을 부르는 듯한 목소리가 더해지면 <구음시나위>가 되는 것이지요. 그래서 시나위 가락은 서러움을 그 주된 정조로 하고 있습니다. 즉흥 음악인 시나위는 일정한 장단의 틀 안에서 각각의 악기가 자유스럽게 자신의 선율을 연주합니다. 장단이 풀리면 연주자들이 마음대로 자신의 선율을 가져가다가, 장고가 일정한 장단을 이끌면 조심스럽게 약속된 음악으로 통일시켜 나갑니다. 거문고가 앞으로 나오면 나머지 악기들이 뒤로 물러나고, 대금이 나오면 장고만이 그 선율을 따라가며 다른 길로 비켜나가지 않게 지켜줍니다. 그래서 우리는 시나위 음악의 두 축을 '자유'와 '조화'의 정신이라 일컫는 것입니다.
이 음악은 아픈 이별을 노래하듯 중중모리의 슬픈 가락으로 시작되는데, 안숙선 명창의 구음은 그 처연함을 더해줍니다. 곡이 점차 진행되면서 가락은 슬픔을 딛고 신명으로 치달으며 자진모리로 넘어가고 그 여세를 몰아 흥겨운 열 박자의 엇모리와 네 박자의 동살풀이에 맞추어 새로운 가락을 연주하며 곡을 마감합니다. 출처 - 이종민의 음악편지 중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의 소리 / 김영동 (0) | 2009.08.12 |
---|---|
나그네는 어디로 가는가 / 김영월 (0) | 2009.08.12 |
나그네 / 장사익 거문고 병창 (0) | 2009.08.12 |
저녁노을 (0) | 2009.08.12 |
산책 -- 별의 바다에서 / 김현성 (0) | 2009.08.12 |